틱톡 속 경쟁 브랜드의 움직임을 읽다: 2026년 ‘경쟁사 분석’ 완벽 가이드
틱톡 속 경쟁 브랜드의 움직임을 읽다: 2026년 ‘경쟁사 분석’ 완벽 가이드
Author :
배규태
2025. 11. 14.



틱톡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면, 경쟁사 분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단순히 다른 브랜드의 영상을 스크롤하며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전략을 분해해 무엇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어디에 약점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 브랜드는 어디서 차별화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틱톡은 더 이상 ‘감’으로 운영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어내는 측정 가능한 채널이 됩니다.
Part 1:왜 경쟁사 분석이 필요할까요?
뛰어난 경쟁사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트렌드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다.
틱톡은 변화 속도가 빠른 플랫폼인 만큼,
틱톡 분석을 통해 새로운 포맷·사운드·챌린지를 사라지기 전에 미리 캐치할 수 있습니다.타깃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경쟁 브랜드의 영상에서 댓글과 공유 등 소비자 반응을 보면,
그들의 고객이 곧 우리의 고객이 될 수도 있기에,
그들이 원하는 것과 불편함이 무엇인지 직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현실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다.
기준점이 없으면 KPI는 추측에 불과합니다.
경쟁사 분석 데이터는 우리 업계에서 ‘잘하고 있다’의 기준을 제시해주며,
데이터 기반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결국 이 과정은 틱톡을 ‘감에 의존한 콘텐츠 플랫폼’이 아니라,
비즈니스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채널로 전환시키는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틱톡에서 누가 진짜 우리의 경쟁자인가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요?
Step 1. ‘경쟁자’의 정의를 다시 써야 합니다
틱톡에서의 경쟁자는 단순히 같은 제품을 파는 브랜드가 아닙니다.
당신의 타깃의 관심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모든 존재가 경쟁자입니다.
여기에는 브랜드뿐 아니라 크리에이터와 미디어까지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당신의 고객이 기대하는 콘텐츠의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Step 2. 3단계 경쟁 구도 맵을 만들어야 합니다
전반적인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경쟁자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접 경쟁자 (Direct Competitors)
이들은 같은 동일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비슷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입니다.
(예: BMW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주시하는 경우)
이들을 분석하면 핵심 시장 내에서의 기본적인 성과 수준과 제품 포지셔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간접 경쟁자 (Indirect Competitors)
이들은 주력하는 제품은 다르지만, 타깃 고객의 시간과 관심을 공유하는 브랜드입니다.
예를 들어 BMW가 럭셔리 여행 브랜드를 주시하는 경우인데요,
그들의 콘텐츠는 당신과 그들이 공통으로 노리는 고객층의 라이프스타일, 가치관, 관심사를 보여줍니다.벤치마크 브랜드 (Aspirational Competitors)
이들은 직접적인 경쟁 관계는 아니지만, 콘텐츠나 커뮤니티 구축 측면에서 본받을 만한 계정들입니다.
예를 들어, B2B 브랜드가 듀오링고를 분석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즉, 벤치마크 경쟁자는 자사의 직접적인 경쟁자는 아니지만,
창의성·커뮤니티 구축·혁신적인 전략에서 영감을 주는 존재입니다.
Step 3. 4단계로 경쟁사 탐색 툴킷을 활용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한 가지 방법이 아닌, 여러 접근을 병행해야 합니다.
① 인앱 검색으로 틱톡에서 영향력 있는 계정 찾아보기.
틱톡 검색창에서 핫한 키워드나 해시태그(예: #CarTok, #sustainablefashion)를 입력해
지속적으로 상위 노출되는 계정을 확인해보면,
반복적으로 상위에 노출되는 계정이 그 업계에서 영향력이 큰 계정입니다.
② 크로스 플랫폼 인텔리전스로 다른 플랫폼의 경쟁 브랜드 확인하기.
틱톡 밖에서도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글을 이용해 당신 분야의 상위 브랜드 목록을 찾아
그들의 틱톡 계정을 확인해보거나, 혹은 인스타그램에서 누가 경쟁자인지를 확인한 후,
그들의 틱톡 전략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③ 소셜 리스닝 툴로 산업 키워드 기반 영향력 계정을 탐색하기.
Sprout Social, Brand24, Syncly Social 같은 외부 분석 툴을 활용해 산업 키워드를 중심으로
리스닝 토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툴들은 넓은 범위를 탐색해
당신이 놓쳤을 수 있는 영향력 있는 크리에이터나 신흥 브랜드를 자동으로 찾아줄 수 있습니다.
④ 팔로워에게 직접 물어 그들이 주목하는 계정을 알아보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영상, 설문, 혹은 댓글을 통해 팔로워들에게 어떤 다른 계정을 좋아하는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목록은 이미 사전 검증된, 그들이 실제로 주목하고 있는, 우리 브랜드의 경쟁자입니다.
Part 2: 경쟁자의 틱톡 프로필을 분석해봐야 합니다
틱톡에서 경쟁자의 프로필은 브랜드의 첫인상입니다.
프로필의 사용자 이름, 프로필 사진, 링크, 콘텐츠 구성 등 모든 요소는
브랜딩, 마케팅 우선순위, 타깃 고객을 보여주는 단서가 되는데요.
아래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면 경쟁자를 단계별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Step 1: 프로필 구성 요소를 분석합니다
1) 사용자 이름 & 프로필 사진
사용자 이름이 찾기 쉽고, 기억하기 쉬우며, 철자가 쉬운지 확인합니다.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계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프로필 사진은 브랜드의 성격을 보여줍니다. 로고는 기업적인 느낌을,
사람 얼굴은 개인 혹은 크리에이터 중심의 느낌을 줍니다.
2) 바이오 (80자 피치)
키워드 활용: 틱톡 검색에서 발견되기 위해 핵심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예: “피트니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USP: 그들의 콘텐츠나 브랜드가 다른 경쟁자와 차별화되는 포인트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봅니다.
톤 & 가독성: 이모지를 사용하는지, 전체적인 분위기가 재미있는지, 전문적인지,
아니면 영감을 주는 스타일인지 등을 살펴봅니다.
3) 링크인바이오 전략
틱톡 프로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링크인바이오는, 팔로워를 브랜드가 원하는 행동으로 유도하는 핵심 공간입니다.
링크가 어디로 연결되는지, 링크인바이오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지, 홈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는지,
아니면 Linktree 같은 도구로 여러 곳으로 보내는지 등을 살펴봅니다.CTA(Call-to-Action): 어떤 행동을 유도하는지 확인합니다. (예: 신제품 홍보, 뉴스레터 구독, 유튜브 채널 방문 등)
링크 업데이트 빈도: 링크를 자주 바꾸는 것은, 캠페인에 맞춰 빠르게 대응하는 유연한 마케팅 전략을 의미합니다.
Pro Tip: 경쟁자의 마케팅 퍼널 찾기
링크인바이오, 바이오 소개, 고정 영상 등 프로필의 각 요소는 하나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예를 들어 경쟁자의 링크인바이오가 새 전자책 판매 페이지로 연결되어 있고,
바이오에 자신을 ‘저자’라고 소개하며, 고정된 영상들이 그 책에 대한 후기라면,
지금 그들의 핵심 비즈니스 목표는 바로 전자책 판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프로필을 분석하면 경쟁자의 현재 마케팅 퍼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2: 브랜드 감성을 해독해 봅니다
이제 경쟁사의 프로필과 콘텐츠 그리드의 전체적인 느낌을 살펴봅니다.
이것을 통해 그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1) 시각적 일관성
영상 썸네일을 그리드 형태로 봤을 때 색감, 필터, 편집 스타일이 일관적인지 확인합니다.
일관된 그리드는 전문적, 큐레이션된 브랜드 느낌을 줍니다.
다양한 스타일이나 자유로운 구성은 자연스럽고 친근한 브랜드를 보여주려는 의도일 수 있습니다.
2) 영상 제작 퀄리티
자연스럽고 즉흥적인 느낌: ‘폰카로 찍은 듯’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느낌의 콘텐츠는 틱톡에 적합하며,
신뢰감과 공감을 형성합니다.고급스럽고 완성도 높은 영상: 전문 조명, 고급 카메라, 세련된 편집이 들어간 콘텐츠는
프리미엄 혹은 권위 있는 브랜드를 나타냅니다.
3) 화면 속 텍스트 & 캡션
화면 속 글꼴과 색상이 브랜드 이미지와 일관적인지 살펴봅니다.
캡션을 읽으며 톤과 말투를 파악합니다.
재치 있고 비공식적인가
교육적이고 직설적인가
영감을 주는 톤인가
이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표현을 함께 보면, 경쟁 브랜드가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성격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Part 3: 실제 성과를 벤치마킹하여
핵심 지표를 확인해봅니다
경쟁자의 프로필 분석을 마쳤다면, 이제 데이터를 들여다볼 차례입니다.
숫자로 보는 벤치마킹은 어떤 전략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확실히 해주고,
우리 브랜드의 목표를 현실적으로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Step 1: 성장과 도달 범위와 같은 핵심 지표를 확인합니다
먼저 계정의 전반적인 활동 현황과 성장 흐름을 살펴봅니다.
팔로워 성장률: 단순히 총 팔로워 수만 보는 것은 ‘허수’일 수 있습니다. 팔로워 성장률을 보면 진짜 성과가 보입니다. 작은 계정이라도 빠르게 성장한다면, 큰 계정이 정체된 것보다 훨씬 주목할 만한 경쟁자입니다.
갑작스러운 성장 스파이크가 보인다면, 이는 바이럴 영상, 성공적인 광고, 협업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평균 영상 조회수: 총 조회수도 참고하지만, 영상 1개당 평균 조회수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팔로워 10,000명인데 평균 조회수가 50,000이라면,
콘텐츠가 ‘For You’ 페이지에 잘 노출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프로필 조회수: 영상 조회수는 도달 범위를 보여주지만, 프로필 조회수는 누군가가 스크롤을 멈추고
적극적으로 경쟁사의 이름을 클릭하여 더 알아보게 만들 만큼 ‘영상이 매력적이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조회수는 많지만 프로필 클릭이 적다는 것은,
콘텐츠가 흥미롭더라도 브랜드 충성도까지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뜻입니다.
Step 2: 참여 지표를 통해 팔로워와의 연결 정도를 파악합니다
틱톡 알고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바로 ‘참여율’입니다.
좋아요보다 더 중요한 지표는, 시청자가 영상과 얼마나 몰입했는가입니다.
조회수 기준 참여율(Engagement Rate by Views)은 틱톡에서 영상 성과를 판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팔로워 수와 관계없이, 실제로 영상을 본 시청자가 얼마나 몰입했는지를 측정하는데요,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ER(views) = (좋아요 + 댓글 + 공유) ÷ 조회수 × 100
참여율을 평가할 때는 단순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유형, 캠페인 시점, 타깃층 등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업계 평균이 3.3%라고 해도, 경쟁자가 지속적으로 이를 웃돈다면 상황을 이해한 뒤
강력한 성과를 내는 계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고가치 상호작용(공유와 저장)에 주목: 좋아요 수보다 공유와 저장이 알고리즘에 더 중요한 신호입니다.
공유는 콘텐츠가 너무 좋아서 시청자가 자신의 친구나 팔로워에게 전달한 경우를 의미하고,
저장은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북마크한 경우를 뜻합니다.
경쟁자의 인기 콘텐츠에서 이런 지표를 확인하면,
팔로워가 진짜 가치 있다고 느끼는 콘텐츠 테마와 포맷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쟁사의 인기 콘텐츠에서 공유와 저장이 많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면,
팔로워가 가장 가치 있게 느끼는 주제와 포맷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3: 알고리즘의 핵심 기준인, 영상 몰입도를 분석해야 합니다
틱톡 알고리즘의 최우선 목표는 사용자를 앱 안에 오래 머물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청자를 끝까지 붙잡는 콘텐츠가 중요합니다.
평균 시청 시간과 영상 완주율: 틱톡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신호는 평균 시청 시간(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과 영상 완주율(시청자의 몇 %가 해당 영상을 끝까지 봤는지)입니다.
처음 3초 안에 강력한 후킹 요소를 보여주고, 영상의 템포를 잘 맞추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경쟁자 데이터를 직접 볼 수 없을 때 분석하는 방법: 경쟁자의 세부 시청 데이터는 볼 수 없지만,
댓글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상 마지막 몇 초에 질문을 던졌는데 댓글이 이에 반응하고 있거나,
댓글이 영상 끝 부분을 언급하고 있다면, 완주율이 높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이 경우 어떤 요소가 시청자를 끝까지 붙잡았는지 분석하면 콘텐츠 전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빠르게 살펴보는 지표 정리
지표 | 의미 | 중요한 이유 |
|---|---|---|
팔로워 성장률 | 팔로워가 증가하는 속도(%) | 전체 팔로워 수보다 현재 계정의 성장 추세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참여율( 조회수 기준) | (좋아요 + 댓글 + 공유) / 조회수 | 영상이 시청자에게 얼마나 공감을 얻고 있는지, 콘텐츠 품질을 가장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
공유 & 저장 | 영상이 얼마나 공유되거나 저장되었는지 | 시청자가 콘텐츠를 유용하거나 흥미롭다고 판단했는지 보여주는 고가치 신호입니다. |
프로필 조회 | 영상 후 프로필을 클릭한 수 | 영상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더 깊게 유도했는지를 측정합니다. |
완주율(추정) | 영상 끝까지 본 시청자 비율 | 알고리즘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신호입니다. (댓글을 통해 추정 가능) |
Part 4: 경쟁자 콘텐츠 전략을 분석해
성공 비법을 파헤칩니다.
경쟁자의 프로필과 성과 지표를 분석했다면, 이제 그들의 성공 뒤에 숨은 “어떻게”와 “왜”를 살펴볼 차례입니다.
틱톡에서 성공적인 전략은 우연이 아니라 재현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어떤 콘텐츠를 올리고, 어떻게 노출시키며, 언제 올리는지를 분석하면 경쟁자의 전략을 읽을 수 있습니다.

Step 1: 콘텐츠 핵심 주제와 형식을 파악합니다
성공 계정은 무작위로 영상을 올리지 않습니다. 대부분 3~4개의 핵심 콘텐츠 주제를 중심으로 전략을 세웁니다.
최근 50~100개의 게시물을 확인하고, 공통된 테마로 분류해 보세요.
교육: 문제 해결형 ‘How-to’ 영상으로 전문가 이미지를 구축합니다.
비하인드(BTS): 브랜드의 내부 직원, 제작 과정, 사무실 풍경,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 보여주며
친근감과 신뢰를 형성합니다.트렌드 참여: 인기 사운드나 챌린지를 자사의 니치에 맞게 활용합니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리뷰, 후기, 듀엣 등을 활용해 강력한 사회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엔터테인먼트: 재미있거나 독특한 브랜드 성격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기억에 남도록 합니다.
그다음, 영상 제작 방식을 살펴보세요.
영상 길이: 짧고 임팩트 있는 영상인지(15초 이하), 아니면 스토리텔링형 장편 영상인지 확인합니다.
참고로, 21~34초 영상은 완주율이 높은 편입니다.후킹(Hook): 처음 3초 안에 시선을 잡는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질문, 최종 결과 공개,
혹은 눈길을 끄는 강한 메시지 등이 시선을 잡는 후킹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틱톡 네이티브 기능 활용: 듀엣, 스티치, 폴, 스티커, 텍스트 오버레이 등의 기능을 활용해
시청자와 상호작용을 유도하는지 확인합니다.
Step 2: 해시태그 전략을 평가해봐야 합니다
틱톡에서 해시태그는 콘텐츠를 분류하고, 검색을 통해 시청자에게 도달하게 합니다.
경쟁사가 선택한 해시태그를 보면 그들이 어떤 타깃을 공략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브랜드 해시태그(Branded): 회사 고유의 해시태그 (#BrandChallenge)로 커뮤니티를 만들고
UGC를 조직하는 데 사용합니다.트렌딩 해시태그(Trending): 플랫폼 전반에서 인기 있는 태그로,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됩니다.
니치 해시태그(Niche): 산업이나 타깃층에 특화된 소규모 해시태그로 정밀한 타겟팅이 가능 합니다.
💡 팁: 경쟁사가 사용하지 않는 해시태그도 주목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계정은 #fyp, #foryou처럼 경쟁이 치열하고 범용적인 태그는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태그는 경쟁이 너무 심해 의미 있는 노출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Step 3: 사운드 전략을 분석합니다
틱톡에서 영상의 절반은 사운드가 결정합니다. 경쟁자가 선택한 오디오는 브랜드의 우선순위를 보여줍니다.
트렌디한 사운드 활용: 상단 퍼널 도달 전략으로, 이미 인기 있는 사운드를 사용해 대규모 시청자에게 노출합니다.
오리지널 오디오 사용: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유한 보이스오버나 사운드를 제작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이렇게 만든 독자적인 ‘브랜드 사운드’는 더 오래 기억에 남고, 콘텐츠의 수명도 길어지게 합니다.
트렌드를 활용할 때 단순히 따라 하기만 하는지, 아니면 브랜드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하는지를 확인해보면,
우수한 계정일수록 트렌드를 ‘복제’하지 않고, 브랜드에 맞게 ‘재해석’합니다.
Step 4: 포스팅의 빈도와 시간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계정 운영 패턴을 분석합니다.
빈도: 게시 빈도는 브랜드가 틱톡 운영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 3회: 최소한의 가시성을 유지하는 수준
주 5회: 대부분 브랜드에 적합한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빈도
주 7회 이상: 고성장 혹은 고투자 전략
시간: 정확한 시간보다 일관성이 중요하지만, 게시 시간과 참여율을 비교하면
타깃 시청자가 가장 활발한 시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Part 5. 경쟁사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브랜드의 진짜 ‘팬층’을 읽어봅니다.
브랜드의 성장은 좋은 콘텐츠에서 시작되지만, 그것을 이어가는 힘은 커뮤니티에서 나옵니다.
틱톡에서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는 단순한 팬 모임이 아니라,
알고리즘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력한 자산입니다.
따라서 경쟁자의 커뮤니티를 분석하면,
그 브랜드가 얼마나 탄탄하게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1: 그들이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지 파악해봅니다
먼저, 경쟁자의 핵심 타깃층이 누구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가: 틱톡은 경쟁사의 세부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비공개 분석 데이터(예: 나이, 성별, 지역)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대신 틱톡 광고 관리자(TikTok Ads Manager)에서 유사한 관심사 기반 타깃을 설정해보면
어떤 이용자층이 반응하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왜 반응하는가: 더 중요한 건, 그 타겟층이 왜 반응하는가입니다.
이건 무료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데요 — 바로 댓글 섹션을 읽는 것입니다.
경쟁사의 인기 영상 댓글을 살펴보면,
그들의 고민·유머코드·가치관·열정 그리고 공통된 언어와 밈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바로 커뮤니티를 움직이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Step 2. 감정 분석으로 커뮤니티 ‘분위기’를 파악합니다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은 브랜드를 둘러싼 대화의 전반적인 감정 톤을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지, 부정적으로 말하는지, 혹은 중립적인지 확인하는 것이죠.
수동 분석은 비효율적입니다
수천 개의 댓글을 직접 읽고 분류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또한 태그 없이 언급된 영상도 많기 때문에, 직접 수집하려고 하면 놓칠 수밖에 없습니다.AI 기반 소셜 리스닝 도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AI 소셜 리스닝 툴을 활용해야 합니다.
Brand24, Sprout Social, Syncly Social 같은 소셜 리스닝 툴은 TikTok 전반에서 브랜드 언급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긍정/부정 등 감정을 분류하며, 자주 사용되는 이모지나 키워드까지 시각화해줍니다.항상 직접 한 번씩은 확인해줘야 합니다
AI가 똑똑하긴 하지만, 종종 풍자, 아이러니, 신조어 같은 문화적 표현을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석 결과가 실제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부 댓글은 직접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Step 3. 커뮤니티 관리 전략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브랜드가 실제로 얼마나 적극적으로 팬/고객과 소통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조회수는 높지만 댓글이 방치된 계정이라면, 겉보기와 달리 커뮤니티는 약할 가능성이 큽니다.
아래 항목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관리가 강한지(또는 약한지) 살펴보세요.
1. 응답 속도와 태도
좋은 사례: 4시간 이내에 빠르게 답변하며 댓글 작성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개인화된 방식으로 응답
나쁜 사례: “감사합니다!” 같은 틀에 박힌 답변만 반복하거나 아예 무응답
2. 대화 유도 여부
좋은 사례: 브랜드가 먼저 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유용한 댓글을 고정(Pin)하고 캡션에서 질문을 던지며
댓글에 답변하는 형태의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
나쁜 사례: 영상 업로드 후 일방향적 송출로 마무리
3. UGC(User-Generated Content) 활성화
좋은 사례: 팔로워가 ‘공동 창작자’가 되도록 독려하기 위해, 브랜디드 해시태그 챌린지, 콘테스트, 듀엣·스티치 등을 통해 팬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개
나쁜 사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상태
4. 적극적인 소통
좋은 사례: 다른 크리에이터 영상에 재치있거나 진정성 있는 댓글을 자주 남기는 등 해당 커뮤니티의 ‘일원’처럼 행동
나쁜 사례: 자기 채널 외에는 무관심
Part 6. 경쟁 브랜드의 광고·인플루언서 전략까지
파헤쳐봅니다
경쟁사의 자연 노출 전략만 보는 것은 전체 퍼포먼스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그들이 돈을 어디에 쓰는지까지 알아야 진짜 전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번 파트에서는 경쟁 브랜드의 유료 광고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을 발견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Step 1. TikTok Creative Center에서 광고를 분석해봅니다
TikTok이 직접 운영하는 Creative Center는 플랫폼 내 상위 광고들을 모아놓은 무료 라이브러리입니다.
여기서 경쟁 브랜드가 어떤 목적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데요.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TikTok Creative Center 페이지로 이동
Top Ads Dashboard 진입
경쟁 브랜드의 이름 또는 계정명 검색
여기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Campaign Objective(광고 목적)’ 필터입니다.
이를 통해 그 광고가 왜 집행되고 있는지, 즉 브랜드 전체 유료 광고의 퍼널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Objective별 의미
Video Views(조회수 목적) → 퍼널 최상단(TOF):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브랜드를 노출하기 위한 광고.
Community Interaction(커뮤니티 상호작용 목적) → 퍼널 중간(MOF): 팔로워·댓글·반응 등을 확대해 참여 유도
Conversions(전환 목적) → 퍼널 하단(BOF): 구매 전환을 직접 목표로 한 광고로,
CTA 버튼 클릭이 어디로 연결되는지 보면 제품 판매 페이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 Tip
각 목적별로 몇 개의 광고를 돌리고 있는지 비교하면,
경쟁 브랜드의 유료 퍼널 전체 구조를 역추적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인지도 → 참여 유도 → 최종 구매까지 단번에 파악 가능)
Step 2. Commercial Content Library(CCL)에서
인플루언서 파트너십을 확인해봅니다
TikTok에는 또 하나의 무료 도구인 Commercial Content Library(CCL)가 있는데요,
두 개의 섹션 중 “Ad Library”는 건너뛰고 반드시 “Other Commercial Content”를 확인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곳은 크리에이터들이 브랜드 협업을 자발적으로 공개한 콘텐츠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즉, 경쟁사가 어떤 인플루언서와 일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크리에이터의 사용자명으로 검색할 수 있는데요,
만약 당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인기 인플루언서를 알고 있다면,
여기서 검색해 그들이 공식적으로 공개한 브랜드 협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브랜드의 인플루언서 파트너십 라인업을 파악하는 확실한 방법입니다.
Step 3. 숨겨진(미표기된) 파트너십까지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모든 스폰서 콘텐츠가 제대로 표시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주의해야 관찰 포인트 통해 스폰서 여부를 추정해야 합니다.
명확한 표기
#ad
#sponsored
#partner
"Paid partnership" 라벨
‘미표기 협업’을 알아채는 관찰 포인트
제작 퀄리티가 갑자기 상승 평소와 달리 전문 조명·카메라·편집이 들어간 영상이라면 협찬 가능성 ↑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톤과 어울리지 않는 내용 평소 코미디 스킷만 하던
크리에이터가 갑자기 2분짜리 제품 리뷰를 올리는 경우스크립트 느낌이 강한 반복적 패턴 영상이 자연스러운 추천보다 스크립트를 읽는 듯한 느낌,
브랜드명이나 제품이 반복적으로 노출동시다발적 업로드 같은 날, 5~10명의 크리에이터가 같은 제품을 올리는 경우
→ 명백히 계획된 유료 인플루언서 캠페인의 신호
Part 7: 분석 결과를 실전 전략으로 바꾸는 법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했지만, 그대로 두면 소용이 없습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수집한 인사이트를 정리하고, 실제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전략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tep 1. SWOT 분석으로 인사이트 정리하기
모든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SWOT 분석입니다.
SWOT은 네 가지 영역으로 관찰 내용을 구분합니다.
Strengths(강점): 경쟁사가 잘하고 있는 부분을 정리합니다.
예시:"꾸준히 높은 참여율""UGC 캠페인을 잘 운영함""뛰어난 브랜드 개성"
Weaknesses(약점):경쟁사가 놓치거나 부족한 부분을 찾습니다.
예시:"게시글 업로드가 불규칙적""커뮤니티 관리가 미흡함""콘텐츠가 지루하고 지나치게 판매 중심적"
Opportunities(기회): 경쟁사의 약점을 기반으로 우리 브랜드가 채울 수 있는 부분을 찾아봅니다.
예시: "교육형 콘텐츠를 거의 올리지 않음 → 우리가 전문가로 자리 잡을 수 있음"
"댓글 관리에 소홀함 → 실질적인 커뮤니티 구축으로 차별화 가능"
Threats(위협): 경쟁사가 하는 행동 중, 우리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합니다.
예시:"핵심 해시태그 장악"
"거대한 광고 예산 보유"
"우리 영역 내 가장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와 협업 진행"
Step 2. SWOT을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전환해보기
완성된 SWOT 분석은 새로운 실행 설계도가 됩니다.
1) 기회 공략
"Opportunities" 목록은 곧 콘텐츠 계획입니다.
예: 경쟁사가 커뮤니티 관리를 못 한다면, 모든 댓글에 개인화된 답변을 남기는 것이 첫 번째 전략이 되어야 합니다.
2) 모방보다 적응
경쟁사의 강점을 참고해 무엇이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
단, 영상 그대로 따라 하지 말고, 원리를 파악해 우리 브랜드에 맞게 적용시킵니다.
(예: "짧고 교육적인 튜토리얼이 잘 먹힌다 → 우리 브랜드 톤에 맞는 방식으로 재구성")
3) 데이터 기반 목표 설정
감에 의존한 목표가 아닌, 성과 벤치마크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예시:
이전 목표: "팔로워 늘리기"
새로운 목표: "평균 참여율 2.5% → 4%로 올려 경쟁사 최고 3.8%를 뛰어넘기"
사실 이 모든 과정을 수작업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다음은 실무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도구들을 기능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틱톡 분석 도구 툴킷(A Quick Guide)
올인원 소셜 관리(All-in-One Social Management)
Syncly Social
Sprout Social
광고 투명성 확인(무료)
TikTok Creative Center
소셜 리스닝 & 감정 분석(Deep Social Listening & Sentiment)
Syncly Social
Brandwatch
Brand24
경쟁사 벤치마킹(Direct Competitor Benchmarking)
Rival IQ
Socialinsider
틱톡 트렌드 & 사운드 추적(TikTok Trend & Sound Tracking)
Pentos
인플루언서 & 파트너십 추적(Influencer & Partnership Tracking)
Favikon
결국, 틱톡은 데이터 싸움입니다.
틱톡은 빠르게 변하지만, 그 속도를 따라잡는 건 ‘감’이 아니라 분석 구조입니다.
경쟁사 분석은 그 구조의 출발점이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의 차별점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복잡한 분석 대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한발 앞서가고 싶다면,
👉 지금 바로 데모를 신청하고 싱클리 소셜의 차세대 AI 소셜 리스닝 기능을 직접 체험해보세요!
틱톡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면, 경쟁사 분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단순히 다른 브랜드의 영상을 스크롤하며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전략을 분해해 무엇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어디에 약점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 브랜드는 어디서 차별화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틱톡은 더 이상 ‘감’으로 운영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어내는 측정 가능한 채널이 됩니다.
Part 1:왜 경쟁사 분석이 필요할까요?
뛰어난 경쟁사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트렌드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다.
틱톡은 변화 속도가 빠른 플랫폼인 만큼,
틱톡 분석을 통해 새로운 포맷·사운드·챌린지를 사라지기 전에 미리 캐치할 수 있습니다.타깃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경쟁 브랜드의 영상에서 댓글과 공유 등 소비자 반응을 보면,
그들의 고객이 곧 우리의 고객이 될 수도 있기에,
그들이 원하는 것과 불편함이 무엇인지 직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현실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다.
기준점이 없으면 KPI는 추측에 불과합니다.
경쟁사 분석 데이터는 우리 업계에서 ‘잘하고 있다’의 기준을 제시해주며,
데이터 기반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결국 이 과정은 틱톡을 ‘감에 의존한 콘텐츠 플랫폼’이 아니라,
비즈니스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채널로 전환시키는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틱톡에서 누가 진짜 우리의 경쟁자인가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요?
Step 1. ‘경쟁자’의 정의를 다시 써야 합니다
틱톡에서의 경쟁자는 단순히 같은 제품을 파는 브랜드가 아닙니다.
당신의 타깃의 관심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모든 존재가 경쟁자입니다.
여기에는 브랜드뿐 아니라 크리에이터와 미디어까지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당신의 고객이 기대하는 콘텐츠의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Step 2. 3단계 경쟁 구도 맵을 만들어야 합니다
전반적인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경쟁자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접 경쟁자 (Direct Competitors)
이들은 같은 동일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비슷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입니다.
(예: BMW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주시하는 경우)
이들을 분석하면 핵심 시장 내에서의 기본적인 성과 수준과 제품 포지셔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간접 경쟁자 (Indirect Competitors)
이들은 주력하는 제품은 다르지만, 타깃 고객의 시간과 관심을 공유하는 브랜드입니다.
예를 들어 BMW가 럭셔리 여행 브랜드를 주시하는 경우인데요,
그들의 콘텐츠는 당신과 그들이 공통으로 노리는 고객층의 라이프스타일, 가치관, 관심사를 보여줍니다.벤치마크 브랜드 (Aspirational Competitors)
이들은 직접적인 경쟁 관계는 아니지만, 콘텐츠나 커뮤니티 구축 측면에서 본받을 만한 계정들입니다.
예를 들어, B2B 브랜드가 듀오링고를 분석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즉, 벤치마크 경쟁자는 자사의 직접적인 경쟁자는 아니지만,
창의성·커뮤니티 구축·혁신적인 전략에서 영감을 주는 존재입니다.
Step 3. 4단계로 경쟁사 탐색 툴킷을 활용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한 가지 방법이 아닌, 여러 접근을 병행해야 합니다.
① 인앱 검색으로 틱톡에서 영향력 있는 계정 찾아보기.
틱톡 검색창에서 핫한 키워드나 해시태그(예: #CarTok, #sustainablefashion)를 입력해
지속적으로 상위 노출되는 계정을 확인해보면,
반복적으로 상위에 노출되는 계정이 그 업계에서 영향력이 큰 계정입니다.
② 크로스 플랫폼 인텔리전스로 다른 플랫폼의 경쟁 브랜드 확인하기.
틱톡 밖에서도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글을 이용해 당신 분야의 상위 브랜드 목록을 찾아
그들의 틱톡 계정을 확인해보거나, 혹은 인스타그램에서 누가 경쟁자인지를 확인한 후,
그들의 틱톡 전략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③ 소셜 리스닝 툴로 산업 키워드 기반 영향력 계정을 탐색하기.
Sprout Social, Brand24, Syncly Social 같은 외부 분석 툴을 활용해 산업 키워드를 중심으로
리스닝 토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툴들은 넓은 범위를 탐색해
당신이 놓쳤을 수 있는 영향력 있는 크리에이터나 신흥 브랜드를 자동으로 찾아줄 수 있습니다.
④ 팔로워에게 직접 물어 그들이 주목하는 계정을 알아보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영상, 설문, 혹은 댓글을 통해 팔로워들에게 어떤 다른 계정을 좋아하는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목록은 이미 사전 검증된, 그들이 실제로 주목하고 있는, 우리 브랜드의 경쟁자입니다.
Part 2: 경쟁자의 틱톡 프로필을 분석해봐야 합니다
틱톡에서 경쟁자의 프로필은 브랜드의 첫인상입니다.
프로필의 사용자 이름, 프로필 사진, 링크, 콘텐츠 구성 등 모든 요소는
브랜딩, 마케팅 우선순위, 타깃 고객을 보여주는 단서가 되는데요.
아래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면 경쟁자를 단계별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Step 1: 프로필 구성 요소를 분석합니다
1) 사용자 이름 & 프로필 사진
사용자 이름이 찾기 쉽고, 기억하기 쉬우며, 철자가 쉬운지 확인합니다.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계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프로필 사진은 브랜드의 성격을 보여줍니다. 로고는 기업적인 느낌을,
사람 얼굴은 개인 혹은 크리에이터 중심의 느낌을 줍니다.
2) 바이오 (80자 피치)
키워드 활용: 틱톡 검색에서 발견되기 위해 핵심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예: “피트니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USP: 그들의 콘텐츠나 브랜드가 다른 경쟁자와 차별화되는 포인트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봅니다.
톤 & 가독성: 이모지를 사용하는지, 전체적인 분위기가 재미있는지, 전문적인지,
아니면 영감을 주는 스타일인지 등을 살펴봅니다.
3) 링크인바이오 전략
틱톡 프로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링크인바이오는, 팔로워를 브랜드가 원하는 행동으로 유도하는 핵심 공간입니다.
링크가 어디로 연결되는지, 링크인바이오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지, 홈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는지,
아니면 Linktree 같은 도구로 여러 곳으로 보내는지 등을 살펴봅니다.CTA(Call-to-Action): 어떤 행동을 유도하는지 확인합니다. (예: 신제품 홍보, 뉴스레터 구독, 유튜브 채널 방문 등)
링크 업데이트 빈도: 링크를 자주 바꾸는 것은, 캠페인에 맞춰 빠르게 대응하는 유연한 마케팅 전략을 의미합니다.
Pro Tip: 경쟁자의 마케팅 퍼널 찾기
링크인바이오, 바이오 소개, 고정 영상 등 프로필의 각 요소는 하나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예를 들어 경쟁자의 링크인바이오가 새 전자책 판매 페이지로 연결되어 있고,
바이오에 자신을 ‘저자’라고 소개하며, 고정된 영상들이 그 책에 대한 후기라면,
지금 그들의 핵심 비즈니스 목표는 바로 전자책 판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프로필을 분석하면 경쟁자의 현재 마케팅 퍼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2: 브랜드 감성을 해독해 봅니다
이제 경쟁사의 프로필과 콘텐츠 그리드의 전체적인 느낌을 살펴봅니다.
이것을 통해 그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1) 시각적 일관성
영상 썸네일을 그리드 형태로 봤을 때 색감, 필터, 편집 스타일이 일관적인지 확인합니다.
일관된 그리드는 전문적, 큐레이션된 브랜드 느낌을 줍니다.
다양한 스타일이나 자유로운 구성은 자연스럽고 친근한 브랜드를 보여주려는 의도일 수 있습니다.
2) 영상 제작 퀄리티
자연스럽고 즉흥적인 느낌: ‘폰카로 찍은 듯’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느낌의 콘텐츠는 틱톡에 적합하며,
신뢰감과 공감을 형성합니다.고급스럽고 완성도 높은 영상: 전문 조명, 고급 카메라, 세련된 편집이 들어간 콘텐츠는
프리미엄 혹은 권위 있는 브랜드를 나타냅니다.
3) 화면 속 텍스트 & 캡션
화면 속 글꼴과 색상이 브랜드 이미지와 일관적인지 살펴봅니다.
캡션을 읽으며 톤과 말투를 파악합니다.
재치 있고 비공식적인가
교육적이고 직설적인가
영감을 주는 톤인가
이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표현을 함께 보면, 경쟁 브랜드가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성격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Part 3: 실제 성과를 벤치마킹하여
핵심 지표를 확인해봅니다
경쟁자의 프로필 분석을 마쳤다면, 이제 데이터를 들여다볼 차례입니다.
숫자로 보는 벤치마킹은 어떤 전략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확실히 해주고,
우리 브랜드의 목표를 현실적으로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Step 1: 성장과 도달 범위와 같은 핵심 지표를 확인합니다
먼저 계정의 전반적인 활동 현황과 성장 흐름을 살펴봅니다.
팔로워 성장률: 단순히 총 팔로워 수만 보는 것은 ‘허수’일 수 있습니다. 팔로워 성장률을 보면 진짜 성과가 보입니다. 작은 계정이라도 빠르게 성장한다면, 큰 계정이 정체된 것보다 훨씬 주목할 만한 경쟁자입니다.
갑작스러운 성장 스파이크가 보인다면, 이는 바이럴 영상, 성공적인 광고, 협업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평균 영상 조회수: 총 조회수도 참고하지만, 영상 1개당 평균 조회수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팔로워 10,000명인데 평균 조회수가 50,000이라면,
콘텐츠가 ‘For You’ 페이지에 잘 노출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프로필 조회수: 영상 조회수는 도달 범위를 보여주지만, 프로필 조회수는 누군가가 스크롤을 멈추고
적극적으로 경쟁사의 이름을 클릭하여 더 알아보게 만들 만큼 ‘영상이 매력적이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조회수는 많지만 프로필 클릭이 적다는 것은,
콘텐츠가 흥미롭더라도 브랜드 충성도까지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뜻입니다.
Step 2: 참여 지표를 통해 팔로워와의 연결 정도를 파악합니다
틱톡 알고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바로 ‘참여율’입니다.
좋아요보다 더 중요한 지표는, 시청자가 영상과 얼마나 몰입했는가입니다.
조회수 기준 참여율(Engagement Rate by Views)은 틱톡에서 영상 성과를 판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팔로워 수와 관계없이, 실제로 영상을 본 시청자가 얼마나 몰입했는지를 측정하는데요,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ER(views) = (좋아요 + 댓글 + 공유) ÷ 조회수 × 100
참여율을 평가할 때는 단순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유형, 캠페인 시점, 타깃층 등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업계 평균이 3.3%라고 해도, 경쟁자가 지속적으로 이를 웃돈다면 상황을 이해한 뒤
강력한 성과를 내는 계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고가치 상호작용(공유와 저장)에 주목: 좋아요 수보다 공유와 저장이 알고리즘에 더 중요한 신호입니다.
공유는 콘텐츠가 너무 좋아서 시청자가 자신의 친구나 팔로워에게 전달한 경우를 의미하고,
저장은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북마크한 경우를 뜻합니다.
경쟁자의 인기 콘텐츠에서 이런 지표를 확인하면,
팔로워가 진짜 가치 있다고 느끼는 콘텐츠 테마와 포맷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쟁사의 인기 콘텐츠에서 공유와 저장이 많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면,
팔로워가 가장 가치 있게 느끼는 주제와 포맷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3: 알고리즘의 핵심 기준인, 영상 몰입도를 분석해야 합니다
틱톡 알고리즘의 최우선 목표는 사용자를 앱 안에 오래 머물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청자를 끝까지 붙잡는 콘텐츠가 중요합니다.
평균 시청 시간과 영상 완주율: 틱톡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신호는 평균 시청 시간(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과 영상 완주율(시청자의 몇 %가 해당 영상을 끝까지 봤는지)입니다.
처음 3초 안에 강력한 후킹 요소를 보여주고, 영상의 템포를 잘 맞추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경쟁자 데이터를 직접 볼 수 없을 때 분석하는 방법: 경쟁자의 세부 시청 데이터는 볼 수 없지만,
댓글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상 마지막 몇 초에 질문을 던졌는데 댓글이 이에 반응하고 있거나,
댓글이 영상 끝 부분을 언급하고 있다면, 완주율이 높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이 경우 어떤 요소가 시청자를 끝까지 붙잡았는지 분석하면 콘텐츠 전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빠르게 살펴보는 지표 정리
지표 | 의미 | 중요한 이유 |
|---|---|---|
팔로워 성장률 | 팔로워가 증가하는 속도(%) | 전체 팔로워 수보다 현재 계정의 성장 추세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참여율( 조회수 기준) | (좋아요 + 댓글 + 공유) / 조회수 | 영상이 시청자에게 얼마나 공감을 얻고 있는지, 콘텐츠 품질을 가장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
공유 & 저장 | 영상이 얼마나 공유되거나 저장되었는지 | 시청자가 콘텐츠를 유용하거나 흥미롭다고 판단했는지 보여주는 고가치 신호입니다. |
프로필 조회 | 영상 후 프로필을 클릭한 수 | 영상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더 깊게 유도했는지를 측정합니다. |
완주율(추정) | 영상 끝까지 본 시청자 비율 | 알고리즘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신호입니다. (댓글을 통해 추정 가능) |
Part 4: 경쟁자 콘텐츠 전략을 분석해
성공 비법을 파헤칩니다.
경쟁자의 프로필과 성과 지표를 분석했다면, 이제 그들의 성공 뒤에 숨은 “어떻게”와 “왜”를 살펴볼 차례입니다.
틱톡에서 성공적인 전략은 우연이 아니라 재현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어떤 콘텐츠를 올리고, 어떻게 노출시키며, 언제 올리는지를 분석하면 경쟁자의 전략을 읽을 수 있습니다.

Step 1: 콘텐츠 핵심 주제와 형식을 파악합니다
성공 계정은 무작위로 영상을 올리지 않습니다. 대부분 3~4개의 핵심 콘텐츠 주제를 중심으로 전략을 세웁니다.
최근 50~100개의 게시물을 확인하고, 공통된 테마로 분류해 보세요.
교육: 문제 해결형 ‘How-to’ 영상으로 전문가 이미지를 구축합니다.
비하인드(BTS): 브랜드의 내부 직원, 제작 과정, 사무실 풍경,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 보여주며
친근감과 신뢰를 형성합니다.트렌드 참여: 인기 사운드나 챌린지를 자사의 니치에 맞게 활용합니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리뷰, 후기, 듀엣 등을 활용해 강력한 사회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엔터테인먼트: 재미있거나 독특한 브랜드 성격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기억에 남도록 합니다.
그다음, 영상 제작 방식을 살펴보세요.
영상 길이: 짧고 임팩트 있는 영상인지(15초 이하), 아니면 스토리텔링형 장편 영상인지 확인합니다.
참고로, 21~34초 영상은 완주율이 높은 편입니다.후킹(Hook): 처음 3초 안에 시선을 잡는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질문, 최종 결과 공개,
혹은 눈길을 끄는 강한 메시지 등이 시선을 잡는 후킹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틱톡 네이티브 기능 활용: 듀엣, 스티치, 폴, 스티커, 텍스트 오버레이 등의 기능을 활용해
시청자와 상호작용을 유도하는지 확인합니다.
Step 2: 해시태그 전략을 평가해봐야 합니다
틱톡에서 해시태그는 콘텐츠를 분류하고, 검색을 통해 시청자에게 도달하게 합니다.
경쟁사가 선택한 해시태그를 보면 그들이 어떤 타깃을 공략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브랜드 해시태그(Branded): 회사 고유의 해시태그 (#BrandChallenge)로 커뮤니티를 만들고
UGC를 조직하는 데 사용합니다.트렌딩 해시태그(Trending): 플랫폼 전반에서 인기 있는 태그로,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됩니다.
니치 해시태그(Niche): 산업이나 타깃층에 특화된 소규모 해시태그로 정밀한 타겟팅이 가능 합니다.
💡 팁: 경쟁사가 사용하지 않는 해시태그도 주목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계정은 #fyp, #foryou처럼 경쟁이 치열하고 범용적인 태그는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태그는 경쟁이 너무 심해 의미 있는 노출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Step 3: 사운드 전략을 분석합니다
틱톡에서 영상의 절반은 사운드가 결정합니다. 경쟁자가 선택한 오디오는 브랜드의 우선순위를 보여줍니다.
트렌디한 사운드 활용: 상단 퍼널 도달 전략으로, 이미 인기 있는 사운드를 사용해 대규모 시청자에게 노출합니다.
오리지널 오디오 사용: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유한 보이스오버나 사운드를 제작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이렇게 만든 독자적인 ‘브랜드 사운드’는 더 오래 기억에 남고, 콘텐츠의 수명도 길어지게 합니다.
트렌드를 활용할 때 단순히 따라 하기만 하는지, 아니면 브랜드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하는지를 확인해보면,
우수한 계정일수록 트렌드를 ‘복제’하지 않고, 브랜드에 맞게 ‘재해석’합니다.
Step 4: 포스팅의 빈도와 시간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계정 운영 패턴을 분석합니다.
빈도: 게시 빈도는 브랜드가 틱톡 운영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 3회: 최소한의 가시성을 유지하는 수준
주 5회: 대부분 브랜드에 적합한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빈도
주 7회 이상: 고성장 혹은 고투자 전략
시간: 정확한 시간보다 일관성이 중요하지만, 게시 시간과 참여율을 비교하면
타깃 시청자가 가장 활발한 시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Part 5. 경쟁사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브랜드의 진짜 ‘팬층’을 읽어봅니다.
브랜드의 성장은 좋은 콘텐츠에서 시작되지만, 그것을 이어가는 힘은 커뮤니티에서 나옵니다.
틱톡에서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는 단순한 팬 모임이 아니라,
알고리즘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력한 자산입니다.
따라서 경쟁자의 커뮤니티를 분석하면,
그 브랜드가 얼마나 탄탄하게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1: 그들이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지 파악해봅니다
먼저, 경쟁자의 핵심 타깃층이 누구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가: 틱톡은 경쟁사의 세부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비공개 분석 데이터(예: 나이, 성별, 지역)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대신 틱톡 광고 관리자(TikTok Ads Manager)에서 유사한 관심사 기반 타깃을 설정해보면
어떤 이용자층이 반응하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왜 반응하는가: 더 중요한 건, 그 타겟층이 왜 반응하는가입니다.
이건 무료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데요 — 바로 댓글 섹션을 읽는 것입니다.
경쟁사의 인기 영상 댓글을 살펴보면,
그들의 고민·유머코드·가치관·열정 그리고 공통된 언어와 밈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바로 커뮤니티를 움직이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Step 2. 감정 분석으로 커뮤니티 ‘분위기’를 파악합니다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은 브랜드를 둘러싼 대화의 전반적인 감정 톤을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지, 부정적으로 말하는지, 혹은 중립적인지 확인하는 것이죠.
수동 분석은 비효율적입니다
수천 개의 댓글을 직접 읽고 분류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또한 태그 없이 언급된 영상도 많기 때문에, 직접 수집하려고 하면 놓칠 수밖에 없습니다.AI 기반 소셜 리스닝 도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AI 소셜 리스닝 툴을 활용해야 합니다.
Brand24, Sprout Social, Syncly Social 같은 소셜 리스닝 툴은 TikTok 전반에서 브랜드 언급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긍정/부정 등 감정을 분류하며, 자주 사용되는 이모지나 키워드까지 시각화해줍니다.항상 직접 한 번씩은 확인해줘야 합니다
AI가 똑똑하긴 하지만, 종종 풍자, 아이러니, 신조어 같은 문화적 표현을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석 결과가 실제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부 댓글은 직접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Step 3. 커뮤니티 관리 전략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브랜드가 실제로 얼마나 적극적으로 팬/고객과 소통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조회수는 높지만 댓글이 방치된 계정이라면, 겉보기와 달리 커뮤니티는 약할 가능성이 큽니다.
아래 항목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관리가 강한지(또는 약한지) 살펴보세요.
1. 응답 속도와 태도
좋은 사례: 4시간 이내에 빠르게 답변하며 댓글 작성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개인화된 방식으로 응답
나쁜 사례: “감사합니다!” 같은 틀에 박힌 답변만 반복하거나 아예 무응답
2. 대화 유도 여부
좋은 사례: 브랜드가 먼저 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유용한 댓글을 고정(Pin)하고 캡션에서 질문을 던지며
댓글에 답변하는 형태의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
나쁜 사례: 영상 업로드 후 일방향적 송출로 마무리
3. UGC(User-Generated Content) 활성화
좋은 사례: 팔로워가 ‘공동 창작자’가 되도록 독려하기 위해, 브랜디드 해시태그 챌린지, 콘테스트, 듀엣·스티치 등을 통해 팬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개
나쁜 사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상태
4. 적극적인 소통
좋은 사례: 다른 크리에이터 영상에 재치있거나 진정성 있는 댓글을 자주 남기는 등 해당 커뮤니티의 ‘일원’처럼 행동
나쁜 사례: 자기 채널 외에는 무관심
Part 6. 경쟁 브랜드의 광고·인플루언서 전략까지
파헤쳐봅니다
경쟁사의 자연 노출 전략만 보는 것은 전체 퍼포먼스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그들이 돈을 어디에 쓰는지까지 알아야 진짜 전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번 파트에서는 경쟁 브랜드의 유료 광고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을 발견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Step 1. TikTok Creative Center에서 광고를 분석해봅니다
TikTok이 직접 운영하는 Creative Center는 플랫폼 내 상위 광고들을 모아놓은 무료 라이브러리입니다.
여기서 경쟁 브랜드가 어떤 목적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데요.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TikTok Creative Center 페이지로 이동
Top Ads Dashboard 진입
경쟁 브랜드의 이름 또는 계정명 검색
여기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Campaign Objective(광고 목적)’ 필터입니다.
이를 통해 그 광고가 왜 집행되고 있는지, 즉 브랜드 전체 유료 광고의 퍼널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Objective별 의미
Video Views(조회수 목적) → 퍼널 최상단(TOF):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브랜드를 노출하기 위한 광고.
Community Interaction(커뮤니티 상호작용 목적) → 퍼널 중간(MOF): 팔로워·댓글·반응 등을 확대해 참여 유도
Conversions(전환 목적) → 퍼널 하단(BOF): 구매 전환을 직접 목표로 한 광고로,
CTA 버튼 클릭이 어디로 연결되는지 보면 제품 판매 페이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 Tip
각 목적별로 몇 개의 광고를 돌리고 있는지 비교하면,
경쟁 브랜드의 유료 퍼널 전체 구조를 역추적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인지도 → 참여 유도 → 최종 구매까지 단번에 파악 가능)
Step 2. Commercial Content Library(CCL)에서
인플루언서 파트너십을 확인해봅니다
TikTok에는 또 하나의 무료 도구인 Commercial Content Library(CCL)가 있는데요,
두 개의 섹션 중 “Ad Library”는 건너뛰고 반드시 “Other Commercial Content”를 확인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곳은 크리에이터들이 브랜드 협업을 자발적으로 공개한 콘텐츠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즉, 경쟁사가 어떤 인플루언서와 일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크리에이터의 사용자명으로 검색할 수 있는데요,
만약 당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인기 인플루언서를 알고 있다면,
여기서 검색해 그들이 공식적으로 공개한 브랜드 협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브랜드의 인플루언서 파트너십 라인업을 파악하는 확실한 방법입니다.
Step 3. 숨겨진(미표기된) 파트너십까지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모든 스폰서 콘텐츠가 제대로 표시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주의해야 관찰 포인트 통해 스폰서 여부를 추정해야 합니다.
명확한 표기
#ad
#sponsored
#partner
"Paid partnership" 라벨
‘미표기 협업’을 알아채는 관찰 포인트
제작 퀄리티가 갑자기 상승 평소와 달리 전문 조명·카메라·편집이 들어간 영상이라면 협찬 가능성 ↑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톤과 어울리지 않는 내용 평소 코미디 스킷만 하던
크리에이터가 갑자기 2분짜리 제품 리뷰를 올리는 경우스크립트 느낌이 강한 반복적 패턴 영상이 자연스러운 추천보다 스크립트를 읽는 듯한 느낌,
브랜드명이나 제품이 반복적으로 노출동시다발적 업로드 같은 날, 5~10명의 크리에이터가 같은 제품을 올리는 경우
→ 명백히 계획된 유료 인플루언서 캠페인의 신호
Part 7: 분석 결과를 실전 전략으로 바꾸는 법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했지만, 그대로 두면 소용이 없습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수집한 인사이트를 정리하고, 실제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전략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tep 1. SWOT 분석으로 인사이트 정리하기
모든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SWOT 분석입니다.
SWOT은 네 가지 영역으로 관찰 내용을 구분합니다.
Strengths(강점): 경쟁사가 잘하고 있는 부분을 정리합니다.
예시:"꾸준히 높은 참여율""UGC 캠페인을 잘 운영함""뛰어난 브랜드 개성"
Weaknesses(약점):경쟁사가 놓치거나 부족한 부분을 찾습니다.
예시:"게시글 업로드가 불규칙적""커뮤니티 관리가 미흡함""콘텐츠가 지루하고 지나치게 판매 중심적"
Opportunities(기회): 경쟁사의 약점을 기반으로 우리 브랜드가 채울 수 있는 부분을 찾아봅니다.
예시: "교육형 콘텐츠를 거의 올리지 않음 → 우리가 전문가로 자리 잡을 수 있음"
"댓글 관리에 소홀함 → 실질적인 커뮤니티 구축으로 차별화 가능"
Threats(위협): 경쟁사가 하는 행동 중, 우리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합니다.
예시:"핵심 해시태그 장악"
"거대한 광고 예산 보유"
"우리 영역 내 가장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와 협업 진행"
Step 2. SWOT을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전환해보기
완성된 SWOT 분석은 새로운 실행 설계도가 됩니다.
1) 기회 공략
"Opportunities" 목록은 곧 콘텐츠 계획입니다.
예: 경쟁사가 커뮤니티 관리를 못 한다면, 모든 댓글에 개인화된 답변을 남기는 것이 첫 번째 전략이 되어야 합니다.
2) 모방보다 적응
경쟁사의 강점을 참고해 무엇이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
단, 영상 그대로 따라 하지 말고, 원리를 파악해 우리 브랜드에 맞게 적용시킵니다.
(예: "짧고 교육적인 튜토리얼이 잘 먹힌다 → 우리 브랜드 톤에 맞는 방식으로 재구성")
3) 데이터 기반 목표 설정
감에 의존한 목표가 아닌, 성과 벤치마크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예시:
이전 목표: "팔로워 늘리기"
새로운 목표: "평균 참여율 2.5% → 4%로 올려 경쟁사 최고 3.8%를 뛰어넘기"
사실 이 모든 과정을 수작업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다음은 실무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도구들을 기능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틱톡 분석 도구 툴킷(A Quick Guide)
올인원 소셜 관리(All-in-One Social Management)
Syncly Social
Sprout Social
광고 투명성 확인(무료)
TikTok Creative Center
소셜 리스닝 & 감정 분석(Deep Social Listening & Sentiment)
Syncly Social
Brandwatch
Brand24
경쟁사 벤치마킹(Direct Competitor Benchmarking)
Rival IQ
Socialinsider
틱톡 트렌드 & 사운드 추적(TikTok Trend & Sound Tracking)
Pentos
인플루언서 & 파트너십 추적(Influencer & Partnership Tracking)
Favikon
결국, 틱톡은 데이터 싸움입니다.
틱톡은 빠르게 변하지만, 그 속도를 따라잡는 건 ‘감’이 아니라 분석 구조입니다.
경쟁사 분석은 그 구조의 출발점이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의 차별점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복잡한 분석 대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한발 앞서가고 싶다면,
👉 지금 바로 데모를 신청하고 싱클리 소셜의 차세대 AI 소셜 리스닝 기능을 직접 체험해보세요!
틱톡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면, 경쟁사 분석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단순히 다른 브랜드의 영상을 스크롤하며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전략을 분해해 무엇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어디에 약점이 있는지,
그리고 우리 브랜드는 어디서 차별화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야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틱톡은 더 이상 ‘감’으로 운영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비즈니스 성과를 만들어내는 측정 가능한 채널이 됩니다.
Part 1:왜 경쟁사 분석이 필요할까요?
뛰어난 경쟁사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만들어 냅니다:
트렌드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다.
틱톡은 변화 속도가 빠른 플랫폼인 만큼,
틱톡 분석을 통해 새로운 포맷·사운드·챌린지를 사라지기 전에 미리 캐치할 수 있습니다.타깃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경쟁 브랜드의 영상에서 댓글과 공유 등 소비자 반응을 보면,
그들의 고객이 곧 우리의 고객이 될 수도 있기에,
그들이 원하는 것과 불편함이 무엇인지 직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현실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다.
기준점이 없으면 KPI는 추측에 불과합니다.
경쟁사 분석 데이터는 우리 업계에서 ‘잘하고 있다’의 기준을 제시해주며,
데이터 기반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결국 이 과정은 틱톡을 ‘감에 의존한 콘텐츠 플랫폼’이 아니라,
비즈니스 성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채널로 전환시키는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틱톡에서 누가 진짜 우리의 경쟁자인가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요?
Step 1. ‘경쟁자’의 정의를 다시 써야 합니다
틱톡에서의 경쟁자는 단순히 같은 제품을 파는 브랜드가 아닙니다.
당신의 타깃의 관심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모든 존재가 경쟁자입니다.
여기에는 브랜드뿐 아니라 크리에이터와 미디어까지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당신의 고객이 기대하는 콘텐츠의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Step 2. 3단계 경쟁 구도 맵을 만들어야 합니다
전반적인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경쟁자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직접 경쟁자 (Direct Competitors)
이들은 같은 동일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비슷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입니다.
(예: BMW가 메르세데스-벤츠를 주시하는 경우)
이들을 분석하면 핵심 시장 내에서의 기본적인 성과 수준과 제품 포지셔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간접 경쟁자 (Indirect Competitors)
이들은 주력하는 제품은 다르지만, 타깃 고객의 시간과 관심을 공유하는 브랜드입니다.
예를 들어 BMW가 럭셔리 여행 브랜드를 주시하는 경우인데요,
그들의 콘텐츠는 당신과 그들이 공통으로 노리는 고객층의 라이프스타일, 가치관, 관심사를 보여줍니다.벤치마크 브랜드 (Aspirational Competitors)
이들은 직접적인 경쟁 관계는 아니지만, 콘텐츠나 커뮤니티 구축 측면에서 본받을 만한 계정들입니다.
예를 들어, B2B 브랜드가 듀오링고를 분석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인데요.
즉, 벤치마크 경쟁자는 자사의 직접적인 경쟁자는 아니지만,
창의성·커뮤니티 구축·혁신적인 전략에서 영감을 주는 존재입니다.
Step 3. 4단계로 경쟁사 탐색 툴킷을 활용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한 가지 방법이 아닌, 여러 접근을 병행해야 합니다.
① 인앱 검색으로 틱톡에서 영향력 있는 계정 찾아보기.
틱톡 검색창에서 핫한 키워드나 해시태그(예: #CarTok, #sustainablefashion)를 입력해
지속적으로 상위 노출되는 계정을 확인해보면,
반복적으로 상위에 노출되는 계정이 그 업계에서 영향력이 큰 계정입니다.
② 크로스 플랫폼 인텔리전스로 다른 플랫폼의 경쟁 브랜드 확인하기.
틱톡 밖에서도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글을 이용해 당신 분야의 상위 브랜드 목록을 찾아
그들의 틱톡 계정을 확인해보거나, 혹은 인스타그램에서 누가 경쟁자인지를 확인한 후,
그들의 틱톡 전략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③ 소셜 리스닝 툴로 산업 키워드 기반 영향력 계정을 탐색하기.
Sprout Social, Brand24, Syncly Social 같은 외부 분석 툴을 활용해 산업 키워드를 중심으로
리스닝 토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해당 툴들은 넓은 범위를 탐색해
당신이 놓쳤을 수 있는 영향력 있는 크리에이터나 신흥 브랜드를 자동으로 찾아줄 수 있습니다.
④ 팔로워에게 직접 물어 그들이 주목하는 계정을 알아보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영상, 설문, 혹은 댓글을 통해 팔로워들에게 어떤 다른 계정을 좋아하는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얻은 목록은 이미 사전 검증된, 그들이 실제로 주목하고 있는, 우리 브랜드의 경쟁자입니다.
Part 2: 경쟁자의 틱톡 프로필을 분석해봐야 합니다
틱톡에서 경쟁자의 프로필은 브랜드의 첫인상입니다.
프로필의 사용자 이름, 프로필 사진, 링크, 콘텐츠 구성 등 모든 요소는
브랜딩, 마케팅 우선순위, 타깃 고객을 보여주는 단서가 되는데요.
아래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면 경쟁자를 단계별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Step 1: 프로필 구성 요소를 분석합니다
1) 사용자 이름 & 프로필 사진
사용자 이름이 찾기 쉽고, 기억하기 쉬우며, 철자가 쉬운지 확인합니다.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계정과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프로필 사진은 브랜드의 성격을 보여줍니다. 로고는 기업적인 느낌을,
사람 얼굴은 개인 혹은 크리에이터 중심의 느낌을 줍니다.
2) 바이오 (80자 피치)
키워드 활용: 틱톡 검색에서 발견되기 위해 핵심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예: “피트니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USP: 그들의 콘텐츠나 브랜드가 다른 경쟁자와 차별화되는 포인트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봅니다.
톤 & 가독성: 이모지를 사용하는지, 전체적인 분위기가 재미있는지, 전문적인지,
아니면 영감을 주는 스타일인지 등을 살펴봅니다.
3) 링크인바이오 전략
틱톡 프로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링크인바이오는, 팔로워를 브랜드가 원하는 행동으로 유도하는 핵심 공간입니다.
링크가 어디로 연결되는지, 링크인바이오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지, 홈페이지로 바로 연결되는지,
아니면 Linktree 같은 도구로 여러 곳으로 보내는지 등을 살펴봅니다.CTA(Call-to-Action): 어떤 행동을 유도하는지 확인합니다. (예: 신제품 홍보, 뉴스레터 구독, 유튜브 채널 방문 등)
링크 업데이트 빈도: 링크를 자주 바꾸는 것은, 캠페인에 맞춰 빠르게 대응하는 유연한 마케팅 전략을 의미합니다.
Pro Tip: 경쟁자의 마케팅 퍼널 찾기
링크인바이오, 바이오 소개, 고정 영상 등 프로필의 각 요소는 하나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예를 들어 경쟁자의 링크인바이오가 새 전자책 판매 페이지로 연결되어 있고,
바이오에 자신을 ‘저자’라고 소개하며, 고정된 영상들이 그 책에 대한 후기라면,
지금 그들의 핵심 비즈니스 목표는 바로 전자책 판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프로필을 분석하면 경쟁자의 현재 마케팅 퍼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2: 브랜드 감성을 해독해 봅니다
이제 경쟁사의 프로필과 콘텐츠 그리드의 전체적인 느낌을 살펴봅니다.
이것을 통해 그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성격을 알 수 있습니다.
1) 시각적 일관성
영상 썸네일을 그리드 형태로 봤을 때 색감, 필터, 편집 스타일이 일관적인지 확인합니다.
일관된 그리드는 전문적, 큐레이션된 브랜드 느낌을 줍니다.
다양한 스타일이나 자유로운 구성은 자연스럽고 친근한 브랜드를 보여주려는 의도일 수 있습니다.
2) 영상 제작 퀄리티
자연스럽고 즉흥적인 느낌: ‘폰카로 찍은 듯’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느낌의 콘텐츠는 틱톡에 적합하며,
신뢰감과 공감을 형성합니다.고급스럽고 완성도 높은 영상: 전문 조명, 고급 카메라, 세련된 편집이 들어간 콘텐츠는
프리미엄 혹은 권위 있는 브랜드를 나타냅니다.
3) 화면 속 텍스트 & 캡션
화면 속 글꼴과 색상이 브랜드 이미지와 일관적인지 살펴봅니다.
캡션을 읽으며 톤과 말투를 파악합니다.
재치 있고 비공식적인가
교육적이고 직설적인가
영감을 주는 톤인가
이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표현을 함께 보면, 경쟁 브랜드가 보여주고자 하는 브랜드 성격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Part 3: 실제 성과를 벤치마킹하여
핵심 지표를 확인해봅니다
경쟁자의 프로필 분석을 마쳤다면, 이제 데이터를 들여다볼 차례입니다.
숫자로 보는 벤치마킹은 어떤 전략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를 확실히 해주고,
우리 브랜드의 목표를 현실적으로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Step 1: 성장과 도달 범위와 같은 핵심 지표를 확인합니다
먼저 계정의 전반적인 활동 현황과 성장 흐름을 살펴봅니다.
팔로워 성장률: 단순히 총 팔로워 수만 보는 것은 ‘허수’일 수 있습니다. 팔로워 성장률을 보면 진짜 성과가 보입니다. 작은 계정이라도 빠르게 성장한다면, 큰 계정이 정체된 것보다 훨씬 주목할 만한 경쟁자입니다.
갑작스러운 성장 스파이크가 보인다면, 이는 바이럴 영상, 성공적인 광고, 협업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평균 영상 조회수: 총 조회수도 참고하지만, 영상 1개당 평균 조회수를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팔로워 10,000명인데 평균 조회수가 50,000이라면,
콘텐츠가 ‘For You’ 페이지에 잘 노출되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프로필 조회수: 영상 조회수는 도달 범위를 보여주지만, 프로필 조회수는 누군가가 스크롤을 멈추고
적극적으로 경쟁사의 이름을 클릭하여 더 알아보게 만들 만큼 ‘영상이 매력적이었는지’를 보여줍니다.
조회수는 많지만 프로필 클릭이 적다는 것은,
콘텐츠가 흥미롭더라도 브랜드 충성도까지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뜻입니다.
Step 2: 참여 지표를 통해 팔로워와의 연결 정도를 파악합니다
틱톡 알고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바로 ‘참여율’입니다.
좋아요보다 더 중요한 지표는, 시청자가 영상과 얼마나 몰입했는가입니다.
조회수 기준 참여율(Engagement Rate by Views)은 틱톡에서 영상 성과를 판단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팔로워 수와 관계없이, 실제로 영상을 본 시청자가 얼마나 몰입했는지를 측정하는데요, 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ER(views) = (좋아요 + 댓글 + 공유) ÷ 조회수 × 100
참여율을 평가할 때는 단순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영상의 유형, 캠페인 시점, 타깃층 등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업계 평균이 3.3%라고 해도, 경쟁자가 지속적으로 이를 웃돈다면 상황을 이해한 뒤
강력한 성과를 내는 계정임을 알 수 있습니다.고가치 상호작용(공유와 저장)에 주목: 좋아요 수보다 공유와 저장이 알고리즘에 더 중요한 신호입니다.
공유는 콘텐츠가 너무 좋아서 시청자가 자신의 친구나 팔로워에게 전달한 경우를 의미하고,
저장은 나중에 다시 보기 위해 북마크한 경우를 뜻합니다.
경쟁자의 인기 콘텐츠에서 이런 지표를 확인하면,
팔로워가 진짜 가치 있다고 느끼는 콘텐츠 테마와 포맷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쟁사의 인기 콘텐츠에서 공유와 저장이 많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면,
팔로워가 가장 가치 있게 느끼는 주제와 포맷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Step 3: 알고리즘의 핵심 기준인, 영상 몰입도를 분석해야 합니다
틱톡 알고리즘의 최우선 목표는 사용자를 앱 안에 오래 머물게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시청자를 끝까지 붙잡는 콘텐츠가 중요합니다.
평균 시청 시간과 영상 완주율: 틱톡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신호는 평균 시청 시간(사람들이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과 영상 완주율(시청자의 몇 %가 해당 영상을 끝까지 봤는지)입니다.
처음 3초 안에 강력한 후킹 요소를 보여주고, 영상의 템포를 잘 맞추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경쟁자 데이터를 직접 볼 수 없을 때 분석하는 방법: 경쟁자의 세부 시청 데이터는 볼 수 없지만,
댓글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상 마지막 몇 초에 질문을 던졌는데 댓글이 이에 반응하고 있거나,
댓글이 영상 끝 부분을 언급하고 있다면, 완주율이 높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이 경우 어떤 요소가 시청자를 끝까지 붙잡았는지 분석하면 콘텐츠 전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빠르게 살펴보는 지표 정리
지표 | 의미 | 중요한 이유 |
|---|---|---|
팔로워 성장률 | 팔로워가 증가하는 속도(%) | 전체 팔로워 수보다 현재 계정의 성장 추세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참여율( 조회수 기준) | (좋아요 + 댓글 + 공유) / 조회수 | 영상이 시청자에게 얼마나 공감을 얻고 있는지, 콘텐츠 품질을 가장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
공유 & 저장 | 영상이 얼마나 공유되거나 저장되었는지 | 시청자가 콘텐츠를 유용하거나 흥미롭다고 판단했는지 보여주는 고가치 신호입니다. |
프로필 조회 | 영상 후 프로필을 클릭한 수 | 영상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더 깊게 유도했는지를 측정합니다. |
완주율(추정) | 영상 끝까지 본 시청자 비율 | 알고리즘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신호입니다. (댓글을 통해 추정 가능) |
Part 4: 경쟁자 콘텐츠 전략을 분석해
성공 비법을 파헤칩니다.
경쟁자의 프로필과 성과 지표를 분석했다면, 이제 그들의 성공 뒤에 숨은 “어떻게”와 “왜”를 살펴볼 차례입니다.
틱톡에서 성공적인 전략은 우연이 아니라 재현 가능한 시스템입니다.
어떤 콘텐츠를 올리고, 어떻게 노출시키며, 언제 올리는지를 분석하면 경쟁자의 전략을 읽을 수 있습니다.

Step 1: 콘텐츠 핵심 주제와 형식을 파악합니다
성공 계정은 무작위로 영상을 올리지 않습니다. 대부분 3~4개의 핵심 콘텐츠 주제를 중심으로 전략을 세웁니다.
최근 50~100개의 게시물을 확인하고, 공통된 테마로 분류해 보세요.
교육: 문제 해결형 ‘How-to’ 영상으로 전문가 이미지를 구축합니다.
비하인드(BTS): 브랜드의 내부 직원, 제작 과정, 사무실 풍경,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 보여주며
친근감과 신뢰를 형성합니다.트렌드 참여: 인기 사운드나 챌린지를 자사의 니치에 맞게 활용합니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리뷰, 후기, 듀엣 등을 활용해 강력한 사회적 증거를 제공합니다.
엔터테인먼트: 재미있거나 독특한 브랜드 성격을 보여주는 콘텐츠로 기억에 남도록 합니다.
그다음, 영상 제작 방식을 살펴보세요.
영상 길이: 짧고 임팩트 있는 영상인지(15초 이하), 아니면 스토리텔링형 장편 영상인지 확인합니다.
참고로, 21~34초 영상은 완주율이 높은 편입니다.후킹(Hook): 처음 3초 안에 시선을 잡는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질문, 최종 결과 공개,
혹은 눈길을 끄는 강한 메시지 등이 시선을 잡는 후킹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틱톡 네이티브 기능 활용: 듀엣, 스티치, 폴, 스티커, 텍스트 오버레이 등의 기능을 활용해
시청자와 상호작용을 유도하는지 확인합니다.
Step 2: 해시태그 전략을 평가해봐야 합니다
틱톡에서 해시태그는 콘텐츠를 분류하고, 검색을 통해 시청자에게 도달하게 합니다.
경쟁사가 선택한 해시태그를 보면 그들이 어떤 타깃을 공략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브랜드 해시태그(Branded): 회사 고유의 해시태그 (#BrandChallenge)로 커뮤니티를 만들고
UGC를 조직하는 데 사용합니다.트렌딩 해시태그(Trending): 플랫폼 전반에서 인기 있는 태그로,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됩니다.
니치 해시태그(Niche): 산업이나 타깃층에 특화된 소규모 해시태그로 정밀한 타겟팅이 가능 합니다.
💡 팁: 경쟁사가 사용하지 않는 해시태그도 주목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계정은 #fyp, #foryou처럼 경쟁이 치열하고 범용적인 태그는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태그는 경쟁이 너무 심해 의미 있는 노출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Step 3: 사운드 전략을 분석합니다
틱톡에서 영상의 절반은 사운드가 결정합니다. 경쟁자가 선택한 오디오는 브랜드의 우선순위를 보여줍니다.
트렌디한 사운드 활용: 상단 퍼널 도달 전략으로, 이미 인기 있는 사운드를 사용해 대규모 시청자에게 노출합니다.
오리지널 오디오 사용: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유한 보이스오버나 사운드를 제작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이렇게 만든 독자적인 ‘브랜드 사운드’는 더 오래 기억에 남고, 콘텐츠의 수명도 길어지게 합니다.
트렌드를 활용할 때 단순히 따라 하기만 하는지, 아니면 브랜드에 맞게 변형하여 활용하는지를 확인해보면,
우수한 계정일수록 트렌드를 ‘복제’하지 않고, 브랜드에 맞게 ‘재해석’합니다.
Step 4: 포스팅의 빈도와 시간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계정 운영 패턴을 분석합니다.
빈도: 게시 빈도는 브랜드가 틱톡 운영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주 3회: 최소한의 가시성을 유지하는 수준
주 5회: 대부분 브랜드에 적합한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빈도
주 7회 이상: 고성장 혹은 고투자 전략
시간: 정확한 시간보다 일관성이 중요하지만, 게시 시간과 참여율을 비교하면
타깃 시청자가 가장 활발한 시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Part 5. 경쟁사 커뮤니티 분석을 통해
브랜드의 진짜 ‘팬층’을 읽어봅니다.
브랜드의 성장은 좋은 콘텐츠에서 시작되지만, 그것을 이어가는 힘은 커뮤니티에서 나옵니다.
틱톡에서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는 단순한 팬 모임이 아니라,
알고리즘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력한 자산입니다.
따라서 경쟁자의 커뮤니티를 분석하면,
그 브랜드가 얼마나 탄탄하게 자리 잡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1: 그들이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지 파악해봅니다
먼저, 경쟁자의 핵심 타깃층이 누구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가: 틱톡은 경쟁사의 세부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비공개 분석 데이터(예: 나이, 성별, 지역)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대신 틱톡 광고 관리자(TikTok Ads Manager)에서 유사한 관심사 기반 타깃을 설정해보면
어떤 이용자층이 반응하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왜 반응하는가: 더 중요한 건, 그 타겟층이 왜 반응하는가입니다.
이건 무료로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데요 — 바로 댓글 섹션을 읽는 것입니다.
경쟁사의 인기 영상 댓글을 살펴보면,
그들의 고민·유머코드·가치관·열정 그리고 공통된 언어와 밈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바로 커뮤니티를 움직이는 심리적 요인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Step 2. 감정 분석으로 커뮤니티 ‘분위기’를 파악합니다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은 브랜드를 둘러싼 대화의 전반적인 감정 톤을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이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하는지, 부정적으로 말하는지, 혹은 중립적인지 확인하는 것이죠.
수동 분석은 비효율적입니다
수천 개의 댓글을 직접 읽고 분류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또한 태그 없이 언급된 영상도 많기 때문에, 직접 수집하려고 하면 놓칠 수밖에 없습니다.AI 기반 소셜 리스닝 도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AI 소셜 리스닝 툴을 활용해야 합니다.
Brand24, Sprout Social, Syncly Social 같은 소셜 리스닝 툴은 TikTok 전반에서 브랜드 언급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긍정/부정 등 감정을 분류하며, 자주 사용되는 이모지나 키워드까지 시각화해줍니다.항상 직접 한 번씩은 확인해줘야 합니다
AI가 똑똑하긴 하지만, 종종 풍자, 아이러니, 신조어 같은 문화적 표현을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석 결과가 실제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부 댓글은 직접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Step 3. 커뮤니티 관리 전략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당 브랜드가 실제로 얼마나 적극적으로 팬/고객과 소통하고 있는지를 살펴봅니다.
조회수는 높지만 댓글이 방치된 계정이라면, 겉보기와 달리 커뮤니티는 약할 가능성이 큽니다.
아래 항목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관리가 강한지(또는 약한지) 살펴보세요.
1. 응답 속도와 태도
좋은 사례: 4시간 이내에 빠르게 답변하며 댓글 작성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개인화된 방식으로 응답
나쁜 사례: “감사합니다!” 같은 틀에 박힌 답변만 반복하거나 아예 무응답
2. 대화 유도 여부
좋은 사례: 브랜드가 먼저 대화를 만들어내기 위해 유용한 댓글을 고정(Pin)하고 캡션에서 질문을 던지며
댓글에 답변하는 형태의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
나쁜 사례: 영상 업로드 후 일방향적 송출로 마무리
3. UGC(User-Generated Content) 활성화
좋은 사례: 팔로워가 ‘공동 창작자’가 되도록 독려하기 위해, 브랜디드 해시태그 챌린지, 콘테스트, 듀엣·스티치 등을 통해 팬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개
나쁜 사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상태
4. 적극적인 소통
좋은 사례: 다른 크리에이터 영상에 재치있거나 진정성 있는 댓글을 자주 남기는 등 해당 커뮤니티의 ‘일원’처럼 행동
나쁜 사례: 자기 채널 외에는 무관심
Part 6. 경쟁 브랜드의 광고·인플루언서 전략까지
파헤쳐봅니다
경쟁사의 자연 노출 전략만 보는 것은 전체 퍼포먼스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그들이 돈을 어디에 쓰는지까지 알아야 진짜 전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번 파트에서는 경쟁 브랜드의 유료 광고와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을 발견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Step 1. TikTok Creative Center에서 광고를 분석해봅니다
TikTok이 직접 운영하는 Creative Center는 플랫폼 내 상위 광고들을 모아놓은 무료 라이브러리입니다.
여기서 경쟁 브랜드가 어떤 목적으로 광고를 집행하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데요.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TikTok Creative Center 페이지로 이동
Top Ads Dashboard 진입
경쟁 브랜드의 이름 또는 계정명 검색
여기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Campaign Objective(광고 목적)’ 필터입니다.
이를 통해 그 광고가 왜 집행되고 있는지, 즉 브랜드 전체 유료 광고의 퍼널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Objective별 의미
Video Views(조회수 목적) → 퍼널 최상단(TOF): 최대한 많은 사람에게 브랜드를 노출하기 위한 광고.
Community Interaction(커뮤니티 상호작용 목적) → 퍼널 중간(MOF): 팔로워·댓글·반응 등을 확대해 참여 유도
Conversions(전환 목적) → 퍼널 하단(BOF): 구매 전환을 직접 목표로 한 광고로,
CTA 버튼 클릭이 어디로 연결되는지 보면 제품 판매 페이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 Tip
각 목적별로 몇 개의 광고를 돌리고 있는지 비교하면,
경쟁 브랜드의 유료 퍼널 전체 구조를 역추적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인지도 → 참여 유도 → 최종 구매까지 단번에 파악 가능)
Step 2. Commercial Content Library(CCL)에서
인플루언서 파트너십을 확인해봅니다
TikTok에는 또 하나의 무료 도구인 Commercial Content Library(CCL)가 있는데요,
두 개의 섹션 중 “Ad Library”는 건너뛰고 반드시 “Other Commercial Content”를 확인해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곳은 크리에이터들이 브랜드 협업을 자발적으로 공개한 콘텐츠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즉, 경쟁사가 어떤 인플루언서와 일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크리에이터의 사용자명으로 검색할 수 있는데요,
만약 당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인기 인플루언서를 알고 있다면,
여기서 검색해 그들이 공식적으로 공개한 브랜드 협업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브랜드의 인플루언서 파트너십 라인업을 파악하는 확실한 방법입니다.
Step 3. 숨겨진(미표기된) 파트너십까지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모든 스폰서 콘텐츠가 제대로 표시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주의해야 관찰 포인트 통해 스폰서 여부를 추정해야 합니다.
명확한 표기
#ad
#sponsored
#partner
"Paid partnership" 라벨
‘미표기 협업’을 알아채는 관찰 포인트
제작 퀄리티가 갑자기 상승 평소와 달리 전문 조명·카메라·편집이 들어간 영상이라면 협찬 가능성 ↑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톤과 어울리지 않는 내용 평소 코미디 스킷만 하던
크리에이터가 갑자기 2분짜리 제품 리뷰를 올리는 경우스크립트 느낌이 강한 반복적 패턴 영상이 자연스러운 추천보다 스크립트를 읽는 듯한 느낌,
브랜드명이나 제품이 반복적으로 노출동시다발적 업로드 같은 날, 5~10명의 크리에이터가 같은 제품을 올리는 경우
→ 명백히 계획된 유료 인플루언서 캠페인의 신호
Part 7: 분석 결과를 실전 전략으로 바꾸는 법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했지만, 그대로 두면 소용이 없습니다.
이번 파트에서는 수집한 인사이트를 정리하고, 실제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전략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Step 1. SWOT 분석으로 인사이트 정리하기
모든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SWOT 분석입니다.
SWOT은 네 가지 영역으로 관찰 내용을 구분합니다.
Strengths(강점): 경쟁사가 잘하고 있는 부분을 정리합니다.
예시:"꾸준히 높은 참여율""UGC 캠페인을 잘 운영함""뛰어난 브랜드 개성"
Weaknesses(약점):경쟁사가 놓치거나 부족한 부분을 찾습니다.
예시:"게시글 업로드가 불규칙적""커뮤니티 관리가 미흡함""콘텐츠가 지루하고 지나치게 판매 중심적"
Opportunities(기회): 경쟁사의 약점을 기반으로 우리 브랜드가 채울 수 있는 부분을 찾아봅니다.
예시: "교육형 콘텐츠를 거의 올리지 않음 → 우리가 전문가로 자리 잡을 수 있음"
"댓글 관리에 소홀함 → 실질적인 커뮤니티 구축으로 차별화 가능"
Threats(위협): 경쟁사가 하는 행동 중, 우리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합니다.
예시:"핵심 해시태그 장악"
"거대한 광고 예산 보유"
"우리 영역 내 가장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와 협업 진행"
Step 2. SWOT을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전환해보기
완성된 SWOT 분석은 새로운 실행 설계도가 됩니다.
1) 기회 공략
"Opportunities" 목록은 곧 콘텐츠 계획입니다.
예: 경쟁사가 커뮤니티 관리를 못 한다면, 모든 댓글에 개인화된 답변을 남기는 것이 첫 번째 전략이 되어야 합니다.
2) 모방보다 적응
경쟁사의 강점을 참고해 무엇이 효과적인지 확인합니다.
단, 영상 그대로 따라 하지 말고, 원리를 파악해 우리 브랜드에 맞게 적용시킵니다.
(예: "짧고 교육적인 튜토리얼이 잘 먹힌다 → 우리 브랜드 톤에 맞는 방식으로 재구성")
3) 데이터 기반 목표 설정
감에 의존한 목표가 아닌, 성과 벤치마크를 기반으로 현실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예시:
이전 목표: "팔로워 늘리기"
새로운 목표: "평균 참여율 2.5% → 4%로 올려 경쟁사 최고 3.8%를 뛰어넘기"
사실 이 모든 과정을 수작업으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래서, 다음은 실무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도구들을 기능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틱톡 분석 도구 툴킷(A Quick Guide)
올인원 소셜 관리(All-in-One Social Management)
Syncly Social
Sprout Social
광고 투명성 확인(무료)
TikTok Creative Center
소셜 리스닝 & 감정 분석(Deep Social Listening & Sentiment)
Syncly Social
Brandwatch
Brand24
경쟁사 벤치마킹(Direct Competitor Benchmarking)
Rival IQ
Socialinsider
틱톡 트렌드 & 사운드 추적(TikTok Trend & Sound Tracking)
Pentos
인플루언서 & 파트너십 추적(Influencer & Partnership Tracking)
Favikon
결국, 틱톡은 데이터 싸움입니다.
틱톡은 빠르게 변하지만, 그 속도를 따라잡는 건 ‘감’이 아니라 분석 구조입니다.
경쟁사 분석은 그 구조의 출발점이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랜드의 차별점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복잡한 분석 대신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로
한발 앞서가고 싶다면,
👉 지금 바로 데모를 신청하고 싱클리 소셜의 차세대 AI 소셜 리스닝 기능을 직접 체험해보세요!
가장 스마트한 VOC 분석
싱클리
모든 기능을 무료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도입 문의하기
가장 스마트한
VOC 분석 싱클리
모든 기능을 무료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도입 문의하기
가장 스마트한 VOC 분석
싱클리
모든 기능을 무료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도입 문의하기
